요양보호사 업무와 재해 위험
요양보호사란?
요양보호사는 고령이거나 노인성 질환(치매, 중풍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과 일상생활 지원을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주 업무는 식사 보조, 이동 보조, 목욕 지원, 청소 등으로, 이를 통해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요양보호사는 요양기관의 종류에 따라 시설요양보호사와 재가요양보호사로 구별된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지원하기에, 요양보호사 자신들도 환자이동, 체위변경, 목욕 서비스 등의 작업 시 부상을 입거나 근골격계 질환에 걸릴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요양보호사 업무시 구체적인 유해 위험요인과 재해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요양보호사 업무중 발생 가능한 주요 위험요소
요양보호사는 일상적인 업무 중에도 다양한 재해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주로 반복적인 중량물 들기, 부자연스러운 자세 유지, 높은 신체적 부담 등이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허리 통증, 어깨 및 손목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1) 환자 이동과 체위 변경 중 부상 환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나 목욕의자로 옮기는 작업은 허리와 어깨에 심각한 부담을 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힘을 쓰다 보면 쉽게 부상을 입을 수 있다.
(2) 청소와 세탁 중 반복작업 및 미끄러짐 위험 욕실 청소와 세탁물 운반 작업은 부자연스러운 자세와 반복 작업이 많아 허리, 손목, 어깨에 부담이 가중된다. 또한, 물기로 인한 미끄러짐 사고도 흔하게 발생한다.
단위작업 | 작업내용 | 유해,위험요인 | 신체별 유해 수준 |
요양보호 | • 요양보호대상자 등 중량물을 들거나 내리는 작업 •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 휠체어 등 기구를 활용하여 밀거나 당기는 이동 • 식사 보조 • 치매 등 증상관리 |
• 부자연스런 자세 • 반복성 • 과도한 힘 • 직무스트레스 |
• 어깨** • 허리*** • 손, 손목*** • 팔꿈치* |
목욕 | • 요양보호대상자를 들거나 내릴 때 • 샤워 등 목욕업무 |
• 부자연스런 자세 • 반복성 • 과도한 힘 • 미끄러짐 |
• 어깨** • 허리*** • 손, 손목* • 팔꿈치* |
청소 | • 물기, 오물 등 청소 • 비닐봉투(쓰레기보관함)들기 및 운반 |
• 부자연스런 자세 • 반복성 • 과도한 힘 • 미끄러짐 |
• 어깨** • 허리* • 손, 손목*** • 팔꿈치* |
세탁 | • 젖은 세탁물을 꺼내거나 운반 및 보관함 이동 • 세탁물 정리 및 보관 • 세탁물을 수작업으로 건조 |
• 부자연스런 자세 • 반복성 • 과도한 힘 • 미끄러짐 |
• 어깨*** • 허리** • 손, 손목** • 팔꿈치** |
* 유해성 강도 ( 아주 강함 *** , 강함 **, 있음 *) |
요양보호사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대책
재해 예방을 위해 요양보호사는 일상 업무 시 주의가 필요하며, 적절한 보조기구 사용과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보조기구 활용하기
스탠딩 머신, 슬라이딩 보드, 리프트 등 보조기구를 활용하면 환자를 들거나 옮길 때 발생하는 부상을 줄일 수 있다. 환자도 함께 움직일 수 있는 경우에는 보조기구 없이도 쉽게 이동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적절한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2) 목욕 중 2인 1조 작업
목욕 보조는 2인 1조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바닥의 물기를 수시로 제거하고, 미끄럼 방지 매트와 미끄럼 방지화를 착용하여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3) 올바른 자세 유지
올바른 자세와 의자 활용 환자를 옮기거나 기저귀를 교체할 때는 허리를 펴고 자세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무릎을 구부려서 자세를 유지하거나 의자를 사용하여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교대 근무 후 충분한 휴식
야간 근무 후 충부한 휴식과 가벼운 식사, 카페인 섭취 조절로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요양보호사의 뇌심혈관 질환 유해 위험요인
요양보호사는 90% 이상이 여성이고 이중 80%가 40대 이상으로 대게 연령이 높은 편이다. 장시간 노동이 필요한 요양보호사의 경우, 장시간 노동 자체가 직업 관련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대게, 장시간 노동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장시간 노동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상 위험요인
혈압, 콜레스테롤 등의 위험을 증가시킴
수면장애, 심방세동의 위험성이 증가함
휴식시간이 부족하고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짐
뇌심혈관 질환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위험도가 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