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작가인 기안 84(김희민)가 자신이 그동안 살아온 집을 소개하는 부동산 연대기를 인생84 유튜브에서 밝혔다. 기안84 부동산 연대기라는 제목으로 영상을 올렸는데 지금까지 그가 살아온 집들을 나열하며 이야기하는 방식이었다. 1.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벽산아파트 처음 기안84가 살았던 곳은 여주, 7살 때 수원에 있는 벽산 아파에 살았다. 28평 방 3개의 가족 들과 함께 살던 곳 84년생인 기안84가 살던 수원 벽산아파트는 기안84가 7살이던 90년도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이기에 90년 이전 준공된 벽산아파트로 검색해보면 1989년 7월 18일 준공된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의 벽산아파트로 나온다. 740세대의 10층 높이의 아파트로 용적률 192% 타입은 69, 81,92,103,131,150 이 있다...
양도란 자산에 대한 등기, 등록과는 관계없이 매도, 교환함으로써 자산이 유상으로 이전되는 것을 말한다. 양도소득세는 어떤 자산을 양도하며 발생하는 양도차익에 매기는 세액을 말한다. 이때 양도 차익은 양도가액에서 필요 경비를 제한 금액을 말한다. 양도차익 = 양도가액-필요경비 필요경비 = 취득가액 +자본적 지출 + 양도비용 주택을 10억에 구입한 것은 취득가액이 되고, 주택을 12억에 팔았다면 12억이 양도가액이 된다. 그러나 10억에 사서 12억이 되었다고 2억의 수익이 전부 남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매도하며 들어가는 각종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비용처리를 잘해야 양도차익을 줄여 절세가 가능하다. 양도차익을 줄여줄 필요경비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주의 : 개인적으로 알아본 내용입..
고용노동부에서 '22.1.27 부터 시행되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해설서를 발표했다. 249페이지에 달하는 책한권 분량의 해설서다. 해설서 바로 다운 받기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2919 www.moel.go.kr 1.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목적 법 제 1조(목적) 이 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 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조치 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법인의 처벌 등을 규정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시민과 종사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해설서에서 중대..
야외에서 주로 일하는 건설업의 특성상 겨울엔 춥고, 여름엔 덥고 계절의 영향을 직격탄으로 맞게 된다. 한랭 질환을 예방하라는 공문이 매해 지방행정부와 고용노동부 등에서 날아온다. 1. 옥외 근로자의 한랭질환을 예방을 위한 보호구는 안전관리비로 사용이 가능할까?? 고용노동부의 고시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8-94호 다만,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쿨토시, 아이스조끼, 핫팩, 발열조끼 등은 사용 가능함 ▽한랭보호구 질의회시내용 바로가기▽ 안전보건공단 질의응답 [질문] 근로자 방한장갑 기준 및 방한장갑. 방한 보호구는 안전관리비로 사용 가능한지 확인 후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합니다.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은 안전관리자의 업무가 아니긴 하지만, 주로 안전관리비 사용의 기록과 물품 구입등에 관여하기에 어떻게 산업안전보건관리비가 계상되는지 알아둬서 나쁠것은 없다.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안전관리비의 차이를 모르는 안전관리자는 없을 것이다. 현장에서 오랫동안 짬? 이 찬 공사팀은 가끔 이둘을 혼동해서 안전관리비로 쓰면 되잖아? 등의 망언을 뱉어내곤 하지만 둘은 엄연히 다르다.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안전관리비는 건진법상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비용이고,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산업안전보건법상 현장의 근로자의 안전을위해 사용되는 비용이다. 둘다 안전이니까 같은거 아닌가 싶지만, 쓰임새와 관련법이 다르다. 공사 원가 계산서 또는 계약내역서를 보면 산업안전보건비의 항목이 따로 존재한다. 1.산업안전보..
2021년 11월 8일 안전ㆍ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시간의 기준 고시 (안) 이 발표되었다. (고용노동부 공고 제2021-464호) 1.업무수행시간 기준 고시 제정의 목적 고용노동부에서 밝힌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수행시간 기준 고시의 제정 이유는 아래와 같다.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과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제정(2022. 1. 27. 시행)됨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도록 위임된, 안전관리자 등이 다른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시간의 기준을 규정하려는 것임 2.주요내용 1)안전관리자 등의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을 위한 최소시간은 연간 585시간(재해위험이 높은 업종은 702시간)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2)위 최소시간에서 상시근로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