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에서 주로 일하는 건설업의 특성상 겨울엔 춥고, 여름엔 덥고 계절의 영향을 직격탄으로 맞게 된다. 한랭 질환을 예방하라는 공문이 매해 지방행정부와 고용노동부 등에서 날아온다. 1. 옥외 근로자의 한랭질환을 예방을 위한 보호구는 안전관리비로 사용이 가능할까?? 고용노동부의 고시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8-94호 다만,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쿨토시, 아이스조끼, 핫팩, 발열조끼 등은 사용 가능함 ▽한랭보호구 질의회시내용 바로가기▽ 안전보건공단 질의응답 [질문] 근로자 방한장갑 기준 및 방한장갑. 방한 보호구는 안전관리비로 사용 가능한지 확인 후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합니다.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은 안전관리자의 업무가 아니긴 하지만, 주로 안전관리비 사용의 기록과 물품 구입등에 관여하기에 어떻게 산업안전보건관리비가 계상되는지 알아둬서 나쁠것은 없다.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안전관리비의 차이를 모르는 안전관리자는 없을 것이다. 현장에서 오랫동안 짬? 이 찬 공사팀은 가끔 이둘을 혼동해서 안전관리비로 쓰면 되잖아? 등의 망언을 뱉어내곤 하지만 둘은 엄연히 다르다.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안전관리비는 건진법상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비용이고,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산업안전보건법상 현장의 근로자의 안전을위해 사용되는 비용이다. 둘다 안전이니까 같은거 아닌가 싶지만, 쓰임새와 관련법이 다르다. 공사 원가 계산서 또는 계약내역서를 보면 산업안전보건비의 항목이 따로 존재한다. 1.산업안전보..
2021년 11월 8일 안전ㆍ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시간의 기준 고시 (안) 이 발표되었다. (고용노동부 공고 제2021-464호) 1.업무수행시간 기준 고시 제정의 목적 고용노동부에서 밝힌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수행시간 기준 고시의 제정 이유는 아래와 같다.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과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제정(2022. 1. 27. 시행)됨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도록 위임된, 안전관리자 등이 다른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시간의 기준을 규정하려는 것임 2.주요내용 1)안전관리자 등의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수행을 위한 최소시간은 연간 585시간(재해위험이 높은 업종은 702시간)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2)위 최소시간에서 상시근로자가 ..
공사금액에 따라 선임해야할 안전관리자의 수가 달라진다. 큰 규모의 건설현장은 원도급사 외에도 하도급사도 함께 하는데 도급, 수급 관계에서 안전관리자 선임의 방법은 어떻게 될까?? 안전관리자 선임 요건과 법적 사항,안전관리자의 업무에 대한 내용은 이전에 포스팅글에서 확인가능하다.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관리자 선임 요건과 안전관리자의 업무, 과태료 산업안전 보건법상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 현장, 사업체의 규모에 대해 알아보자. 1. 안전관리자의 정의 안전관리자란 사업장의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해 사업주와 안전보건관 humanse.tistory.com 1. 안전관리자의 수 및 선임 방법 공사금액에 따른 안전관리자 선임 기준 및 자격 공사금액 배치인원 자격 비고 50억이상 1명 이상 1)산업안전지도사..
고용노동부에서 11월8일자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겨울철 발생하는 사고 예방을 위해 감독을 실시하겠다는 내용이다. (현장 점검, 자율점검표 작성등의 내용) 고용노동부, 건설현장 동절기 감독 실시 - 위험요인 개선 유도, 취약현장은 감독 실시 - 대표이사가 직접 안전관리에 미흡한 부분이 없는지 챙겨봐야 할 것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21.11.08 건설현장 동절기 감독실시 최근(21년 11월 4일) 대구의 한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양생작업을 위해 *갈탄 난로를 피우는 과정에서 윗층에서 보온용 천막 설치 작업을 실시하던 작업자 4명이 질식으로 재해를 입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처럼 겨울철 사고는 보온과 관련한 질식, 화재,폭발등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갈탄 : 석탄의 한 종류로 수분이 많아 질이 낮은 석탄..
현장에서 용접하거나, 용단(용접기를 사용해 물체를 자르는 작업)하는 작업이 자주는 아니지만 공정에 따라 필요할 때가 있다. 용접시 불꽃이 튀어 주변에 있던 가연성 물질과 만나면 화재 발생위험이 있다. 이런 위험이 있는 작업에는 화재 발생을 감시하는 감시인을 배치해야한다. 안전에 대해 FM인 우리나라 굴지의 한 기업, 삼*의 현장에서는 화재감시자를 채용하여 3일간이나 채용교육을 시킨후 현장에 배치한다. 검색해보면 화기감시자 아르바이트 후기를 심심찮게 찾아볼수있다. 화재 위험작업으로부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배치하는 화재감시자는 필수로 배치해야할까? 법적사항과 미배치시 과태료를 알아보자. 1.화재감시자 배치에 관한 법규 산업안전보건에관한 규칙 제241조의2(화재감시자) ①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다음 각 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