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에서 50주년 기념으로 리유저블 컵에 커피를 담아 판매하고 있다. 28일 오늘! 당일에 한해 매장에서 음료를 구입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하는데 숏, 톨, 그란데 사이즈만 주문 가능하다. 커피를 마시면 스타벅스 로고가 박힌 '굿즈'를 무료로 받을수 있는 셈이다. 그런 심리를 잘 노린 스타벅스의 마케팅이 역시 이래서 스벅 스벅 하는구나 싶다.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는 리유저블 컵이 한잔당 4500원에서 5000원 사이에 거래되고 있다. 톨사이즈 아메리카노를 구입하고 리유저블 컵을 받아 되팔면 오히려 400원에서 900원의 차익이 남는다. 1인당 최대 20잔까지 주문이 가능하기에 8000원에서 18000원의 차익을 남길수 있다( 전량판매시) 사람들의 반응은 50주년, 그것도 9월 28일에 한해서만 받을수 있는..
안전관리자 업무를 시작하는 뉴비가 현장에서 선임안전관리자가 되면 어떤 업무를 해야할지 감이 잡히질 않는다. 더욱이 사수가 없는 안전관리자 1인 현장의 경우 어디 제대로 물어보기도 그렇고 시키는 업무만 하려해도 공사파트 사람들은 본인일 챙기느라 바쁘다. 그래서 안전관리 조직이 어떤 업무를 나누어서 하며, 실제 현장에서 안전관리자는 어떤 업무를 주로 하게 되는지 대략적으로 정리해본다. 1.건설현장 안전(보건) 업무분장표 현장대리인(소장) 본 사 *(해당현장)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작성 검토, 협의 (산안법)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검토, 협의 (건진법) *안전보건총괄 책임자 선임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겸임) *순회점검, 일일안전 점검 실시, 일지작성 및 관리 *안전보건관리조직 편성 (산안법상, 건진법상) * 도급공..
부동산 관련 정보는 여러 매체를 통해 손품으로도 많이 얻을수 있지만 결국 그 부동산의 입지를 상세히 알기 위해선 현장답사 만한것이 없다. 주말, 연휴간에는 평소 관심 있었던 단지들을 둘러보고 주변의 개발호재 등을 살펴 볼수 좋은 시간이 된다. 둘러 볼만한 물건이 정해졌다면 우선 그 입지가 어떤지 분석해야 한다. 시장 흐름을 판단하기 위해 한국부동산원이나 kb리브 부동산에서 제공하는 동향 자료를 살펴보고 매매가, 전세가의 흐름이 어떤지, 거래는 잘되는지, 시장의 심리는 어떤지를 미리 체크한다. 그리고 호갱노노, 다윈중개, 부동산 지인등의 앱을 통해 다양하고 더 상세한 정보를 얻어낸다. 근처 어떤 학군이 있는지, 그 학군의 성취도는 어떤지, 지하철, 버스정류장, 쇼핑몰등의 생활 편의시설, 주변 일자리, 근처..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한지 3주가 되어간다. 9월 7일 첫 글을 올린 후로부터 만 3주차에서 이일 모자른다. 안전관리업무 관련글을 주로 적고 있고 게시글은 30개 정도 되었다. 블로그 만든 첫주와 둘째주의 경우 2자리수를 넘지 못했다. 물론 게시글의 갯수가 너무 미미해서 그렇고 내 블로그가 어디에서도 검색되지 않았으니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1일 2포스팅을 목표로 삼았지만 업무, 육아와 병행하며 포스팅하기가 만만치 않다. 그래도 짬짬히 올리고 보니 1주일에 10개정도는 포스팅을 했다. 반면 구독자수 늘리는 행위는 따로 하지 않았다. 게시글 수를 늘리는것이 더 중요한 작업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조회수 1000을 얻기위해 구독자 1000명 만들고, 일일히 찾아가서 저 왔어요~ 하는것이 시간이 더 거릴것이란..
1. 안전인증 (KCS) 안전인증 대상기계 등의 안전성능과 제조자의 기술능력을 확인하고 기계,기구의 생산체계가 안전인증기준에 맞는지 고용노동부장관이 종합적으로 심사하는 제도(수입품 포함)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안전인증) ① 유해·위험기계등 중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에 위해를 미칠 수 있다고 인정되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자는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 안전인증기준에 맞는지에 대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② 고용노동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1항에 따른 안전인증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할 수 있다. 1)연구·개발을 목적으로 제조·수입하거나 수출을 목적으로 제조하는 경우 2)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
산재나 사고로 사망자가 나오면 안전조치를 미흡하게 한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를 1년 이상 징역이나 10억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하도록 한다. 법인이나 기관도 50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 라는 내용을 골자로한 중대재해 처벌법이 지난 1월 8일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1. 중대산업재해, 중대시민재해 중대재해 처벌등에 관한 법률은 안전 및 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유발한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법인의 처벌 등을 규정하고 있기에 중대재해를 예방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중대재해를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로 구분하고 있어 산업안전보건법과는 목적과 보호대상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1)중대산업재해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