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토목기계기술관련 합판종류 및 규격 합판은 목재를 얇게 켠 것을 여러겹 쌓아서 접착제로 붙인 것으로, 각 겹은 그 방향이 교차 되도록 배열된다. 이런한 구조는 합판 강도를 높이고 변형을 줄이며 균열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합판의 종류는 방수합판, 내화합판, 구조용합판, 외장용합판, 내장용합판, 항공용 합판들이 있으며 나무의 수종과 제작 방식에 따라 적합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합판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3mm~ 25mm 사이다. 크기는 1220mm*2440mm 이며, 용도에 따라 특별 주문을 통해 다른 크기의 합판도 제작할수 있다. ▽합판 품질기준 바로보기▽ 1. 라왕합판 "라왕 합판"은 동남아 합판으로 수입 합판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판이다. 라왕합판은 50m 정도 높이에 지름이 200cm 가..
건축토목기계기술관련 건축물에서 하중이 중요한 이유는? 건축물에서 하중은 매우 중요한 요소다. 하중은 건축물, 구조물의 안정성, 강도, 변형 및내구성 같은 중요한 요소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1) 안전성 : 건축물의 안저한 설계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거동 해석을 위해 필요한 구조물 과 그 부재들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 변형과 변형률을 결정하는 것이 재료 역학의 주 목적이다. 건축물이 안전하게 설계 되기 위해선, 구조물이 견딜수 있는 하중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2) 강도 : 재료역학에서 재료의 강도는 파괴나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 없이 작용하중(Applied load) 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3) 내구성 : 반복적인 하중은 흔히 취성 균열을 야기하고,..
건축토목기계기술관련 플랫타이 Flat Tie(후레타가, 프레타이)란? 현장에서 후레타이, 프레타이등으로 불리는 플랫타이(Flat Tie)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을 타설 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철물이다. 이 철물은 유로폼과 유로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며, 그 결과로 건축물의 변형 방지와 안정적인 구조 유지에 큰 도움을 준다. 플랫타이는 무언가를 고정하는 끈(Tie), 평평한(Flat)의 두 단어가 조합되어 지어진 이름인데, 웻지핀과 함께 유로폼을 고정시키는 재료다. 일정 부분이 콘크리트와 함께 굳기 때문에 일회성 재료로 볼 수 있다. 1. 플랫타이 사용 시 유의사항은? 1) 정규격사용 콘크리트 타설시 정규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펌프카 바이브레이션에 의한 콘크리트 하중을 견디지 못해 플랫타이가..
건축토목기계기술관련 방수공사란? 방수공사는 건축물의 외벽, 지붕, 실내 등 외부로부터 비나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공사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물, 인위적으로 생기는 물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하느냐가 관건이다. "공사가 끝난후 물만 안새면 된다." 라는 건물의 하자중 대표적인것이 물샘이라 방수 공사는 품질에 큰 척도가 된다. 1. 방수공사의 종류는? 방수공사는 크게 아스팔트 방수공사와 시멘트 액체방수로 구분할수 있다. 큰 카테고리에서 시중에서 많이 시공되는 아래의 몇가지 방수공사의 특징과 장,단점에대해 알아보겠다. 2. 방수공사 종류별 특징은? 1) 시멘트 액체 방수 특징: 시멘트를 기반으로 하는 방수재로, 주로 콘크리트 구조에 적용되며, 균열에 대한 회복 능력이 좋다. 장점: ..
1. 잭 서포트란? 잭서포트(Jack Support)는 강관과 스크류 및 베이스로 구성된 상부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동바리를 말한다. 주로 지하주차장이나 대형 보의 하부를 지지해 주는 중하중용 서포트로 사용되며, 지하주차장의 설계하중 변형이나 균열,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 또는 슬래브에 설치된다. 잭서포트의 표준사양은 Φ139.8 X 4.5 t로 잭 서포트 1본의 허용내력 fp≒30.0tf/본이다. 지지부재(슬래브, 보 등)의 콘크리트 양생 28일 강도가 설계기준강도 이상이 되는 것을 확인한 후 시공하중(중차량 운행 및 작업, 자재적재 등)을 가해야 한다. 간단히 정리하면, 상판의 하중과 진동을 분산하여 붕괴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재다. 2. 잭 서포트 설치시 주의사항은? 잭서포트 설치 및..
건축토목기계기술관련 시방서란 무엇인가? 시방서는 공사에 대한 표준안, 규정을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 재료에 대한 성질과 특성이나, 상품 등에 대한 사용법을 설명한 사용설명서를 뜻하기도 한다. 영어로는 Specification, Technical Standard 줄여서 Spec이라고도 한다. 1. 시방서의 종류는? 1)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 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물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전문 시방서를 작성하거나 또느 설계 등의 용역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명시한 시방서이다. 2)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조압적인 시공기준을 명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