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정전기가 발생되는 이유 정전기는 두 물체 간 전하의 이동 또는 재분배를 통해 발생한다. 접촉대전, 마찰대전, 박리대전의 세 가지 메커니즘이 있다. 공기 중의 수분이 전하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가을이나 겨울처럼 건조한 환경에서 정전기가 잘 발생한다. 접촉대전 : 두 물체가 접촉하면 한물체의 전자가 다른 물체로 이동한다. 전자를 받은 물체는 양전하를 띄게되고 전자를 준 물체는 음전하를 띄게 된다. 마찰대전 : 두 물체가 서로 마찰하면서 한 물체의 전자가 다른 물체로 이동한다. 이로인해 분리된 물체 간의 전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박리대전 : 두 물체가 접촉후 분리 시에 전자가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도 분리된 물체 간의 전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1. 접지 및 본딩을 통..
전기 교류발전기 원리는? 교류발전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다. 외부에서 흔히사용하는 모터발전기(디젤 발전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교류발전기의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다. N극과 S극에 의한 자기장이 존재하는 공간에 코일을 직사각형으로 만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레잉의 오른손 법치에 의해 전류가 흐른다. 1. 교류발전기의 작동원리 1)자기장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도체 자기장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도체는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기전력은 반대 극성의 자극 아래에서 움직일 때 극성을 바꾼다. 2)회전자와 고정자 전형적으로, 회전자라고 불리는 회전 자석은 고정자라고 불리는 철심의 코일에 권선으로 고정된 도체 세트 내부에서 회전한다. 3)교류 전압의 유도 회전 자계는 고정자..
전기 전기영어 약어와 뜻풀이 전기 전자 분야에서는 영어 용어를 많이 사용한다. 용어를 그대로 쓰면 길어지기 때문에 축약해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약어를 처음 보는 사람들은 그 뜻을 제대로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자주 쓰이는 영어 약어를 알아보고 그 뜻을 찾아봤다. 1.자주쓰이는 전기 전자 영어 약어와 한국어 뜻 AC - Alternating Current (교류) 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FCI -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아크 결함 회로 차단기) AM - 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 국립 표준 ..
전기 누전발생시 점검 요령 누전이 발생하면 당황스럽다.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를땐 더 당황스럽다. 하지만 이럴땐 몇가지 사항을 체크하여 어디서 누전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분전반 커버 분리하여 누전차단기가 내려갔는지를 확인한다. 누전차단기가 떨어지기전에 사용했던 전자제품이 무엇인지 확인하다. 일차적으로 가장 누전이 잘 될것 같은 제품부터 점검을 하는데 가정에서 사용하는 제품중에는 세탁기, 냉장고, 전기오븐, 어항 등이 있다. 일차적으로 확인한 곳에서 누전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분전반에서 나눠지는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점검한다. 전등, 에어콘, 전열기 등이 있다. 1. 누전점검시 주의사항은? 누전 점검시 안전과 테스트의 신뢰도를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존재한다. 메가테스트를 할 때는 반드시..
안전관리 작업환경 개선의 이유 근로자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작업환경개선은 꼭 필요한 요소다. 작업환경중 유해요인을 제거 또는 감소시켜 근로자가 유해요인에 노출되는 가능성을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이며, 작업 환경 개선을 통해 산업재해 예방에 기여할수 있다. 작업환경개선은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다. 이를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것이 목적이라 할 수 있다. 1. 작업환경요인 1)화학적요인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미스트, 흄, 증기, 독성 물질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화학적 요인은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분진으로 인한 진폐증, 폐결핵,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암 등의 질병을..
건축토목기계기술관련 KS D 3741 강재란? 탄소함유량이 약 0.6~1.5% 로 담금질, 템퍼링을 통해 경도를 올릴 수 있는 재료다. 경도뿐만 아니라 내 마모성이 뛰어나 주로 절삭공구에 사용되기도 한다. 고온이 되면 경도가 저하되는 특성도 가지고 있어, 열 발생이 비교적 적은 수공구를 제작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면도날, 칼, 게이지, 톱, 도끼, 치즐, 야스리 등) 1. 강재의 종류 및 기호 e나라표준 인증에 따른 KS D 3751 :2008에 따르면 강재의 종류는 11종으로 하고 기호는 아래의 표와 같다. 강재의 종류 종류의 기호 STC140 (STC 1) STC120 (STC 2) STC105 (STC 3) STC140 (STC 4) STC90 STC 85(STC 5) STC 80 STC 75(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