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누전발생시 점검 요령
누전이 발생하면 당황스럽다.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를땐 더 당황스럽다. 하지만 이럴땐 몇가지 사항을 체크하여 어디서 누전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분전반 커버 분리하여 누전차단기가 내려갔는지를 확인한다. 누전차단기가 떨어지기전에 사용했던 전자제품이 무엇인지 확인하다. 일차적으로 가장 누전이 잘 될것 같은 제품부터 점검을 하는데 가정에서 사용하는 제품중에는 세탁기, 냉장고, 전기오븐, 어항 등이 있다.
일차적으로 확인한 곳에서 누전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분전반에서 나눠지는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점검한다. 전등, 에어콘, 전열기 등이 있다.
1. 누전점검시 주의사항은?
누전 점검시 안전과 테스트의 신뢰도를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존재한다.
메가테스트를 할 때는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차단한후 실시한다. 누전차단기가 올려져 있으면 메가테스트를 할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작업후 차단기를 올리기전에는 점검, 복구된 곳의 수정이 완벽한지 확인해야 한다. 차단기를 올린후에는 전기 계량기가 돌아가는지 점검한다. 아주 희박하긴 하지만 계량기에서 분전반까지 전기선에서 누전이 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2. 누전 점검시 꼭 알아야할 사항
모든 전기작업전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전기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안전 수칙이다.
* 본인이 누전 점검에 자신이 없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전기 작업은 위험한 작업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확한 지식과 안전조치가 되어 있지 않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것이 좋다.
3. 주로 발생하는 누전 유형은?
누전은 주로 두가지 유형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저항성 누설전류와 용량성 누설전류이다.
저항성 누설전류 : 전선 피복이 벗겨지면서 물과 전기가 만나 발생하는 누전을 말한다.
용량성 누설전류 : 전선로 또는 전기기기와 대지간 정전용량으로 인해 전압선에서 대지로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는것을 말한다.
가정에서 주로 발생하게 되는 누전의 유형은 저항성 누설전류인 경우가 많다. 전선이 찍히거나 꺾여서 피복이 벗겨지거나, 콘센트 부근에 물이 들어가거나, 습기가 침투하는 등의 이유다. 이런 누전은 안전을 위협하기 때문에 누전차단기가 떨어지게 되면 반드시 사용기기를 점검하여 원인을 없애야 한다.